◈ 핵심 내용
▶ 미국 실리콘밸리은행(SVB)과 시그니처은행의 파산에 이어, 또 다른 지역은행이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에도 당국의 지원 조치에 힘입어 혼조세로 마감.
▶ 연방예금보험공사(FDIC)가 SVB의 파산 절차에 돌입하면서 예금자 보호 조치를 시행한다는 소식에 주식시장이 하락하고, 안전자산 선호가 강해졌다. (은행 관련 주식들이 큰 폭으로 하락하며 위험자산 투자 심리 ↓)
▶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규모의 은행 파산이 나온 후 다른 은행도 연이어 파산하면서 제2의 SVB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.
◈ 해외 경제지표발표 예정 시간
2023년 3월 14일 화요일 | |||
16:00 | 영국 | ★★★ | 평균소득지수 |
16:00 | 영국 | ★★★ | 실업수당청구변동 |
16:00 | 영국 | ★★☆ | 고용 변화 |
16:00 | 영국 | ★★☆ | 실업률 |
20:00 | 미국 | ★★☆ | 석유수출국기구(OPEC) 월간 보고서 |
21:30 | 미국 | ★★★ | 소비자물가지수 / CPI |
21:30 | 미국 | ★☆☆ | 실질임금 |
21:55 | 미국 | ★☆☆ | 레드북 소매판매지수 |
2023년 3월 15일 수요일 | |||
05:30 | 미국 | ★★☆ | 미국석유협회 주간 원유 재고 |
06:20 | 미국 | ★★☆ | FOMC 위원 보우먼(Bowman) 연설 |
08:50 | 일본 | ★★☆ | 통화정책회의록 |
◈ 증시요약
▶ 다우 : 0.28%▽, S&P500 : 0.15%▽, 나스닥 : 0.45%▲
▶ 뉴욕증시 11개 업종 5개 하락, 하락순으로 금융>에너지>산업>원자재
: 애플(+1.33%), 마이크로소프트(+2.14%), 아마존 (+1.87%), 구글(+0.71%), 메타(+0.77%), 테슬라 (+0.60%)
◈ 외환마감
▶ 달러인덱스 전당 대비 0.95% 하락 = 103.639
▶ 연준이 매파적인 행보를 바꿀 것으로 예상돼 하락.
◈ 국채마감
▶ 미 국채가격은 급등. SVB 은행 파산의 여파가 금융시장에 그림자를 드리우면서 미 국채 매수세가 집중.
▶ 미국 채권투자자들은 안전자산 선호 심리와 금리인상 기대 후퇴를 고스란히 반영
▶ 연방준비제도(Fed·연준)의 금리 인상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해지면서 최근까지 매도 우위였던 2년물 미 국채가격이 급격히 상승.
▶ 미 국채수익률 3거래일 급락 폭, 1987년 블랙먼데이 이후 최대
◈ 국제원유마감
▶ WTI : 배럴당 2.45% (1.88달러) 하락 74.80달러
▶ 미국 은행권에 대한 우려 커지며 금, 국채 등 안전자산 선호 심리 강화
▶ ING의 애널리스트들은 보고서에서 안전자산 선호로 국채와 금 가격이 오르고, 원자재 가격은 하락하고 있으나, 중국의 강한 매수세로 유가 하락세는 제한될 것으로 예상했다.
▶ 프라이스 그룹의 필 플린 애널리스트는 "연준이 공격적으로 금리를 올리는 데 더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점에서, 또한 이것이 달러 약세를 일으킬 것이라는 점에서 이날의 유가 급락은 다소 놀랍다"라고 말했다.
◈ 귀금속마감
▶ 금 가격은 온스당 1,916.50달러로 전 거래일 대비 +2.6%(49.3달러) 상승
▶ 안전자산 선호 심리에 급등(채권 금리 하락)
▶ 골드 뉴스레터의 브라이언 룬딘 에디터는 "금은 투자자들에게 안전자산으로 작용하고 있다"고 말했다.
▶ 키네시스 머니의 시장 분석가 루퍼트 롤링은 "귀금속 시장은 실버게이트 은행과 SVB은행의 파산에 따라 수혜를 입은 몇 안 되는 분야 중 하나"라면서 "안전 피난처 속성을 가지고 있는 금은 이날 온스당 1,900달러도 회복했다"고 시장 분석 매체 마켓워치에 전했다.